목록SEMICONDUTOR/Basic (6)
CHOARY

일단 단결정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우선 위키피디아의 설명부터 들어보자 A single crystal or monocrystalline solid is a material in which the crystal lattice of the entire sample is continuous and unbroken to the edges of the sample, with no grain boundaries. The absence of the defects associated with grain boundaries can give monocrystals unique properties, particularly mechanical, optical and electrical, which can also be ani..

1. 잉곳(ingot) 만들기 모래에서 추출한 실리콘을 반도체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선 순도를 높이는 정제과정이 필요 실리콘 원료를 녹여 고순도의 용액을 만들고 결정 성장시켜 굳힘 이렇게 굳혀진 실리콘 기둥을 잉곳(ingot)이라고 함 2. 얇은 wafer를 만들기 위해 ingot 절단(wafer slicing)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해 균일한 두께로 얇게 썰어야함 두께가 얇을 수록 제조원가 DOWN 지름이 클수록 한번에 생산 수량 UP 웨이퍼 두께와 크기는 점차 얇고 커지는 추세 3. 웨이퍼 표면 연마(lapping&polishing) /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화학적 기계적 연마 절단 직후의 웨이퍼는 표면에 흠결이 거칠기 때문에 회로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1) 실리콘의 결정 구조 ( crystal structure of silicon) 실리콘(silicon,Si)은 원자번호 14번의 원자 중요한 것은 최외각전자가 4개 라는 사실 최외각 전자는 원자핵과의 결합이 약함(핵과 멀어질 수록 약해짐) 그러므로 당연히 원재핵의 영향에서 이탈하기가 가장 쉬움 원자핵과의 결합을 깨고 이탈한 전자 > 자유전자 그렇다면 왜 전자들이 결합을 깨려고 하는가? 원소들은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최외각 전자 개수를 기준으로 8개가 안정된 상태임 실리콘은 그러므로 불안정한 상태 > 결합을 통해 최외각 전자를 8개로 만들려고함 (2) energy band 와 energy gap 전자들은 모두 양자화된 에너지를 가지고 있음 > 추후 더 공부해보기 원자가 하나일때..

1. 메모리 반도체(Memory semiconductor)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기억하고 저장함 디지털 신호의 최소 단위인 비트(0,1)를 저장하는 방 , 셀(cell)을 가지고 있음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 ex) RAM(Random access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ex) ROM(Read only Memory) (1) RAM(Read access Memory) 순차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임의로(random access) 원하는 데이터 위치에 접근 / 속도가 빠름 > 빠른 처리가 목적 ex ) D(dynamic)RAM , S(Static)RAM DRAM > 1개의 transistor 과 capacitor로 구성 capacitor는 전..